제품 관리(96)
-
[데이먼의 PM 일지] 오늘의 한 문장 RECAP-W9
평범한 기획은 평범한 결과를 낳고, 탁월한 기획은 혁신을 만듭니다. 기획자를 두 부류로 나눈다면?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9damon.im 좋은 디자인은 시대를 초월하며,문제를 해결하고, 때로는 웃음을 줍니다. 좋은 디자인의 14가지 원칙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20damon.im AI는 PM의 능력을 확장시켜주는 도구일 뿐입니다. 아무리 좋은 붓과 물감이 있어도, 영감을 불어넣고 그림을 완성하는 것은 결국 화가의 몫입니다. AI 시대에 제품관리자가 주목받는 이유: 코드보다 중요한 것은 비전입니다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8damon.im 피드백이 없는 조직에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뿐 아..
2025.04.03 -
[데이먼의 PM 일지] 오늘의 한 문장 RECAP-W8
신규 사용자 확보가 아닌, 기존 사용자 유지에 집중해수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듀오링고가 DAU를 4.5배 성장시킨 지표 설정 사례 DAU 4.5배 성장: 듀오링고가 집중한 단 하나의 지표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1damon.im 매출보다 중요한 건,우리 서비스가 존재하는 ‘진짜 이유’와 고객에게 전달되는 본질적 가치다. 우리 서비스를 진짜 성장시키는 '북극성 지표' 제대로 찾고 계신가요?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2damon.im 스타트업의 현실은 통장의 잔액이 떨어지기 전에 PMF를 달성하기 위한 경주다. 스타트업의 성공 여부는 PMF에 달렸다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13damon.im 극복..
2025.04.03 -
[데이먼의 PM 일지] 오늘의 한 문장 RECAP-W7
PM이 갖춰야 할 네 가지 역량과 성장 단계를 한눈에 정리한 글 나는 어떤 PM일까? 성장 로드맵 한눈에 보기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6damon.im 모든 구매 결정의 20~50퍼센트는 입소문이 그 주요 요인이라고 한다. 입소문의 힘: 제품이 팔리는 진짜 이유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7damon.im 사람들 대부분은 제품을 보여 주기 전까진 자신들이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모른다. 스티브 잡스는 왜 소비자 조사를 믿지 않았을까?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8damon.im 신뢰가 깨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어떤 행동을 해도 악의적으로 보인다. 깨진 신뢰는 선의도 악의로 보이게 합니다 🕵️..
2025.04.03 -
[데이먼의 PM 일지] 오늘의 한 문장 RECAP-W6
나이나 성별을 뛰어넘어, 진짜 취향은 결국 ‘행동 데이터’가 말해준다. 인구통계는 틀렸다? 넷플릭스가 말하는 진짜 취향 예측법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5damon.im 행동(Behavior)은 동기(Motivation), 능력(Ability), 트리거(Trigger)가 모두 충분한 수준으로 존재할 때 일어난다. 행동을 유도하는 공식, B=MAT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4damon.im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기술은 결국 살아남지 못한다. 제품 실패의 교훈: 사용자를 이해하지 못한 혁신은 무덤으로 🌊For product makers: 오늘의 한 문장 #3damon.im 때로는 전형적인 소비자 집단이 아닌, 제품을 이상한 방법으로 사용..
2025.04.03 -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 OKR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양장본 HardCover) ★ 일본 아마존 경영경제 부문 베스트셀러 ★ 구글, 트위터, 에어비앤비, 우버 등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목표관리 전략! ★ 한 젊은 기업의 가상 스토리로 이해하는 OKR의 개념과 실전 적용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업과 시장의 지형도 변화의 급물살을 타고 있다. 기술화, 정보화는 세계를 풍요의 시대로 이끌어 풍요로운 공급 속에서 한계비용은 0으로 치닫고, 이제 시장은 넘쳐나는 자원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런 세상에서 기업들은 기하급수 조직이 되어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다. 기하급수 조직은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기업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기술과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자원들을 제품과 서비스에 활용..
2022.11.10 -
UX 라이팅을 '잘했다'가 아니라 '잘 만든 앱이다'라는 인상을 남기고 싶어요.
UX 라이터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는 직무로 빅 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채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저희도 현재는 제품 규모가 크지 않다보니 PM과 디자이너 모두 라이팅 업무에 참여하고 있지만, 그래도 제품의 전체적인 톤 앤 매너를 맞추는 작업이 필요해 이 중에 글을 가장 잘 쓰는 멤버가 UX 라이터 업무를 겸임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규모가 커질수록 브랜딩과 연결지어 제품의 톤 앤 매너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고, 제품의 텍스트가 고객 경험과 긴밀하게 연결되다보니 UX 라이터의 수요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데요. 제일기획 카피라이터에서 카카오페이 UX 라이터로 직무 전환한 강현진 님이 그동안 경험한 내용을 잘 정리한 인터뷰 글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폴인 fol:in] 제..
2022.09.16